지금까지 배운 정렬 알고리즘 중 비교적 빠른 정렬 알고리즘은 O(N*logN)으로 아래 세 가지가 있었다. -퀵 정렬(Worst Case -> N*N) -병합 정렬 -힙 정렬 하지만, 더 빠르게 정렬해야한다면?? 그래서 나온 것이 계수정렬(Counting Sort)이다. 하지만, 이 계수 정렬도 한계점이 존재한다. 특징 데이터의 크기가 제한적으로 '범위 조건'이 있는 경우에 한해서 사용 가능 O(N) 지난 정렬 알고리즘들 처럼 swap을 하는 것이 아닌, 데이터의 크기를 기준으로 Counting하는 방식 사용 -> O(N)의 이유 매우 간단. 6이하의(범위 조건) 자연수 데이터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것 1 2 3 6 2 1 3 2 1 6 5 2 3 1 2 3 2 1 3 6 5 2 1 3 2 5 1 3 ..